본문 바로가기
건강 정보/질병 정보

흉선종 증상 원인 진단 치료 방법 예후 총정리

by 냠냠건강 2025. 7. 9.
목차
반응형

흉선종은 흉선에서 발생하는 드문 종양으로, 초기에는 무증상이 많지만 진행되면 기침, 흉통, 중증근무력증 등 다양한 증상을 동반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흉선종의 정의, 주요 증상, 원인, 진단법, 치료법, 예후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흉선종이란?

흉선종-증상-원인-치료방법

흉선은 전상 종격동(anterior mediastinum)에 위치한 면역계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기관이며, 보통 사춘기 이후 위축됩니다. 흉선종은 흉선(Thymus)에서 발생하는 드문 종양으로, 주로 성인에게 발병합니다. 흉선종은 전체 전 종격동 종양의 약 20~30%를 차지하고, 일반적으로 서서히 자라는 양성 또는 저등급 악성 종양입니다. 하지만 일부는 주위 조직으로 침윤하거나 전이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국제 보건 기구(WHO)는 흉선종을 조직학적 특성에 따라 A형, AB형, B1형, B2형, B3형 등으로 분류하며, 각 타입에 따라 치료 방법과 예후가 다릅니다.

흉선종의 주요 증상

① 초기에는 무증상인 경우가 많음

흉선종의 30~50%는 무증상으로 발견되며, 건강검진 중 우연히 진단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② 종양의 압박으로 인한 증상

● 지속적인 기침

● 호흡 곤란

● 흉통

● 연하곤란 (음식 삼키기 어려움)

● 얼굴, 상지 부종 (상대정맥증후군)

③ 면역계 이상 반응

흉선종은 자가면역질환과 관련이 깊습니다. 특히 중증 근무력증(myasthenia gravis)이 30~50% 환자에게 동반되며, 이는 진단의 단서가 되기도 합니다. 기타 관련 질환으로는 적혈구 파괴성 빈혈, 저 면역증 등이 있습니다.

흉선종의 원인과 위험요인

① 명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음

흉선종은 유전적 돌연변이나 특정 환경 노출과의 연관성이 연구되고 있지만, 명확한 인과관계는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② 위험요인

● 40~60대 성인에서 호발

● 자가면역질환 병력

● 방사선 노출 (가능성 제기)

● 특정 염색체 이상 (연구 진행 중)

흉선종의 진단 방법

① 영상 진단

● 흉부 CT: 가장 중요한 검사로 종양의 위치, 크기, 주변 장기 침습 여부 확인

● MRI: 심장이나 혈관 침윤 의심 시 유용

● PET-CT: 악성 가능성 또는 전이 평가 시 활용

② 조직 검사

● 바늘 생검(core needle biopsy)

● 수술적 절제 후 병리학적 분석

③ 혈액 검사

중증근무력증 동반 여부 확인을 위한 아세틸콜린수용체 항체 검사, 일반 혈액검사 등도 함께 시행됩니다.

흉선종의 치료 방법

① 수술적 절제

● 흉선 절제술(Thymectomy): 완전 절제가 가능하면 가장 좋은 예후를 기대할 수 있음

● 흉강경 또는 개흉 수술 방식

② 방사선 치료

● 잔존 종양이나 침습이 있는 경우 보조 요법으로 시행

● 비수술적 치료 대상자에게는 단독 방사선 요법도 고려

③ 항암화학요법

● 진행성, 재발성, 또는 전이된 흉선종에서 사용

● 대표적 약제: 시스플라틴 기반 병합 요법

흉선종의 관리와 예방법

● 흉선종의 명확한 예방 방법은 없습니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관리는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자가면역질환 정기 검진

● 호흡기 증상이나 근무력증 의심 시 신속한 병원 내원

● CT나 건강검진에서 종격동 이상 발견 시 정밀검사 권고

흉선종의 합병증 및 장기적 영향

● 중증 근무력증: 전신 근육 약화로 삶의 질 저하

● 종양의 국소 침윤: 심장막, 폐, 혈관 침범

● 전이 또는 재발: 드물지만 B3형 또는 침윤형에서 발생

● 조기 진단 시 예후가 좋은 편이나, B2~B3형 또는 캡슐을 침범한 경우 장기적 관리가 필요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Q&A)

Q. 흉선종은 암인가요?

A. 흉선종은 양성에서 악성까지 다양한 분포를 가지고 있고 침습성과 전이성을 보이는 암의 일종입니다. 

 

Q. 중증 근무력증이 꼭 동반되나요?

A. 약 30~50%에서 동반되지만, 모든 흉선종 환자에게 나타나는 것은 아닙니다.

 

Q. 수술 후 재발 가능성이 있나요?

A. 완전 절제된 경우 재발 가능성은 낮지만, 침습형 또는 고등급 조직형은 재발 가능성이 있어 정기 추적 검사가 필요합니다.

 

결론 : 흉선종, 조기 발견과 조직형별 치료가 핵심

흉선종은 희귀하지만 주의가 필요한 종양입니다. 특히 무증상으로 진행될 수 있어 정기적인 흉부 영상검사와 면역계 이상에 대한 조기 대응이 중요합니다. 흉선종이 의심되면 빠른 진단과 조직형에 따른 맞춤형 치료가 예후를 결정짓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