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산물/야채 및 채소

환삼덩굴 율초 효능과 부작용, 영양 성분, 먹는 방법 총정리

by 냠냠건강 2025. 4. 16.
목차
반응형

환삼덩굴(Humulus japonicus)은 한반도 전역에 자생하는 덩굴성 식물로, 강력한 항산화 성분과 항염 작용을 지닌 약용 식물입니다. 예부터 피부염, 부종, 류마티즘 완화 등에 사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항균, 항암, 간 보호 작용을 가진 플라보노이드와 쿠마린 성분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환삼덩굴의 정의, 제철, 효능, 영양 성분, 활용법, 부작용, 주의사항까지 자세히 정리했습니다.

어린 환삼덩굴 잎

환삼덩굴이란?

 

① 환삼덩굴의 정의

환삼덩굴(Humulus japonicus)은 삼과(Cannabaceae)에 속하는 한해살이 덩굴식물로, 줄기와 잎, 꽃 모두에 털이 많고 줄기에는 작은 가시가 있어 시계방향으로 다른 식물을 휘감으며 자라는 특징을 지닙니다. 한자 이름은 환삼(還蔘), 일본에서는 "야마호무레"로 불리며, 주로 들판, 하천가, 야산, 길가에서 자라는 자생력 강한 식물입니다. 높이는 3~6m까지 뻗을 수 있고, 줄기와 잎은 채취해 약재 또는 식용으로 활용됩니다.

 

② 환삼덩굴의 제철

환삼덩굴의 채취 적기는 4월~8월 사이, 줄기와 잎이 부드럽고 어린 시기에 약효 성분이 가장 높고 식용으로도 적합합니다. 가을 이후에는 질겨지고 섬유질이 강해져 약용 또는 생약으로 건조 저장해 활용됩니다. 

 

 

환삼덩굴의 효능

 

① 항염 및 항산화 작용

환삼덩굴에는 플라보노이드, 루테올린, 쿠마린 등의 항산화 성분이 풍부하여 세포 손상 예방, 염증 완화, 노화 억제에 뛰어난 효과를 보입니다. 특히 류마티즘성 관절염, 만성 피부염 등 염증성 질환 개선에 민간에서 널리 활용되어 왔습니다.

 

② 간 기능 보호 및 해독 효과

환삼덩굴 추출물은 간세포 보호 및 간 효소 수치 안정화에 기여하며, 지방간, 알코올성 간 질환 예방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쿠마린계 화합물의 간 보호 효과 덕분이며, 해독 기능 강화에도 도움을 줍니다.

 

③ 항균 및 항암 작용

국내 연구에서는 환삼덩굴의 루테올린 성분이 세균 성장 억제 및 세포 독성 억제에 효과가 있음이 밝혀졌으며, 일부 유방암, 전립선 암세포에 대한 억제 효과도 보고되고 있습니다. 또한 천연 항균 물질로 식중독균이나 염증균 억제에 활용 가능성이 큽니다.

 

④ 이뇨작용 및 부종 개선

민간요법에서는 환삼덩굴을 부종 완화, 소변 정체 해소용 이뇨제로 사용했으며, 방광염, 신장 부종 증상 완화에도 도움이 되는 약용식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환삼덩굴의 영양 성분 (100g 생 잎 기준)

 

영양소 함량(100g 기준)
칼로리 약 30~35 kcal
단백질 3~4 g
탄수화물 6~7 g
식이섬유 2~3 g
비타민 C 12~20 mg
칼륨 400~500 mg
플라보노이드 300~800 mg
쿠마린 풍부함

 

 

환삼덩굴은 어떻게 먹어야 할까?

 

① 환삼덩굴 고르는 방법

● 잎이 연하고 털이 많지 않으며, 줄기가 푸르고 부드러운 것을 고릅니다.

 

● 개화 전(4~6월)의 어린 순이 가장 맛이 좋고 영양도 풍부합니다.

 

● 지나치게 질기거나 시든 것은 피해야 합니다.

 

② 환삼덩굴 손질 방법

● 잎과 줄기에서 잔털을 제거합니다.

 

● 끓는 물에 살짝 데쳐 아린 맛을 제거한 후 찬물에 헹군 뒤 요리에 활용합니다.

 

● 줄기는 껍질을 살짝 벗기거나 툭툭 끊어 사용합니다.

 

③ 환삼덩굴 보관 방법

상태 보관 방법
생물 상태 신문지에 싸서 냉장 보관
(2~3일 내 사용 권장)
데친 상태 물기를 짜서 지퍼백에 담아 냉동 보관
(1개월 이내 사용 권장)
건조 상태 그늘에서 건조 후 밀폐 보관
(약재로 활용 가능)

어린 환삼덩굴 군락

④ 환삼덩굴 먹는 방법

㉮ 환삼덩굴 나물 무침

데친 잎과 줄기를 참기름, 간장, 다진 마늘, 깨소금으로 무치면 향긋한 봄나물 무침이 완성됩니다.

 

㉯ 환삼덩굴 된장국

된장국에 환삼덩굴을 넣으면 쌉쌀한 맛과 깊은 국물 맛이 조화롭게 어우러집니다.

 

㉰ 환삼덩굴 전, 튀김

밀가루나 부침가루에 섞어 부침개나 튀김으로 먹으면 식감과 향 모두 살아있는 별미입니다.

 

환삼덩굴 부작용, 섭취 시 주의사항

 

① 과다 섭취 시 설사 가능성

환삼덩굴은 이뇨 및 해독 작용이 강해, 다량 섭취 시 복부 불편감이나 묽은 변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초기엔 적은 양부터 시작해 몸 반응을 확인해야 합니다.

 

② 알레르기 체질 주의

국화과나 기타 야생식물에 민감한 사람은 피부 발진, 두드러기, 위장 불편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조심스럽게 소량 섭취부터 시작해야 합니다.

 

③ 채취 시 독성식물 혼동 주의

환삼덩굴은 비슷한 외형의 유독 덩굴식물과 혼동될 수 있으므로 식물 지식이 부족할 경우 시중 판매 제품 또는 전문가와 함께 채취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결론 : 환삼덩굴, 자연이 주는 항산화 보물

 

환삼덩굴은 흔한 들풀 같지만, 그 속에는 강력한 항산화력과 해독 효과를 지닌 자연의 약초가 숨어 있습니다. 간 보호, 항염 작용, 피부 건강, 부종 완화까지 다양한 건강 효능을 가진 이 식물은 약이며 식재료로서의 가능성을 모두 갖춘 자생 식물입니다. 다만 적절한 지식과 주의 아래 안전하게 활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반응형